VIEW
GO
MORE
신미양요기록사진은 『신미양요 기록사진집』(강화군청, 2000.4)의 사진자료를 스캔받아 올린 곳입니다. 따라서 이 사진자료들의 저작권은 강화군청과 사진제공자인 Thomas Duvernay에게 있습니다. 사진자료의 이용에 관해서는 강화군청(문화관광과[032-930-3031])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작약도 정박지월미도가 바라보이는 작약도 남쪽 해안을 수색 중인 미군 수병들작약도는 속치 물치도라고도 하는데,수목이 울팡하기 때문에 프랑스 군은 병인양요(1866년) 당시이섬을 나무로 둘러싸여 있다는 의미로 보아제(Boisee) 섬이라고 불렀고,신미양요 때 미군은 목도(Woody Island)라고 불렀다.
27
설명 월미도가 바라보이는 작약도 남쪽 해안을 수색 중인 미군 수병들
작약도 정박지 월미도가 바라보이는 작약도 남쪽 해안을 수색 중인 미군 수병들 작약도는 속치 물치도라고도 하는데, 수목이 울팡하기 때문에 프랑스 군은 병인양요(1866년) 당시 이섬을 나무로 둘러싸여 있다는 의미로 보아제(Boisee) 섬이라고 불렀고, 신미...
사진 작약도의 북쪽 전경
작약도 정박지 작약도의 북쪽 전경 아시아 함대는 작약도 근해가 강화도 진출로 상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육지와도 가까운 지역이므로 조선 당국과 교섭하기에 최적의 장소라고 판단하여 이 지역에 함대를 정박시킬 것을 결정하고 5월 30일 아침 작약도와 율도...
기록화 신미양요 기록화(덕진진 남장포대의 방어)
신미양요 당시 덕진진과 남장포대에서 미군함을 공격하는 조선군
기록화 신미양요 기록화(초지진의 방어) [2]
신미양요 당시 초지진에서 미군함대를 공격하는 장면
기록화 신미양요 기록화(美의 용두돈대공격)
신미양요 때 美 군함이 광성보 용두돈대를 공격하는 장면(기록화)
사진 신미양요 전후 개관 및 요도
이 지도는 손돌목 포격사건(1871. 6. 1)과 수륙 병행작전으로 실시된 미군의 강화도 상륙작전(6.10~6.12)의 경과 및 교전·점령한 조건군 진지들을 표시한 요도이다. 이지도는 영국의 왕립 아시하학회 조선지회의요청을 받고 제작된 것이다. ㉮ 6. 1 모노카시...
설명 신미양요 개요
1866년 7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는 통역담당 선교사 토마스, 영국인, 중국인, 말레이시아인 등 24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서해상의 백령도를 거쳐 평양으로 접근하므로, 조선정부에서는 문정관을 보내 떠날 것을 요구하였으나, 장마철이라 비가 계속 내려 며...
설명 발간사
강화도는 개국과 호국의 성역인 동시에 국조이신 단군왕검께서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참성단과 청동기시대의 유물인 지석묘를 비롯하여 몽고와의 항쟁의 터전인 고려궁지와 팔만대장경 판각, 고려 청자 등 찬란한 민족문화를 꽃피웠던 곳이며 또한 조선말기에 ...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