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년 봄 정월 (眞武)를 좌장(左將)으로 삼고 군사 업무를 맡겼다. 무(武)는 왕의 외삼촌(王之親舅)으로 침착하고 굳세며 큰 지략이 있어 당시 사람들이 복종하였다. (삼국사기 백제 아신왕 2년 1월)
393년 가을 8월에 왕이 무(武)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관미성(關彌城)은 우리 북쪽 변경의 요해지(要害地)이다. 지금 고구려의 소유가 되었으니 이는 과인(寡人)이 분하고 애석하게 여기는 바이다. 경은 마땅히 마음을 써서 설욕하라.”[무는] 드디어 병사 1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남쪽 변경을 칠 것을 도모하였다. 무가 몸소 사졸보다 앞장서서 화살과 돌을 무릅쓰면서 석현성(石峴城) 등 다섯 성을 회복하려고 먼저 관미성을 포위하였으나, 고구려 사람들은 성문을 닫고 굳게 지켰다. 무는 군량 수송이 이어지지 못하므로 [군사를] 이끌고 돌아왔다. (삼국사기 백제 아신왕 2년 8월)
395년 가을 8월 왕이 좌장 진무(眞武) 등에게 명령하여 고구려를 치게 하였다. 고구려 왕 담덕(談德)[광개토왕]이 친히 군사 7천 명을 거느리고 패수(浿水) 가에 진을 치고 막아 싸우니 우리 군사가 크게 패하여 죽은 자가 8천 명이었다.(삼국사기 백제 아신왕 4년 8월)
398년 봄 2월 진무를 병관좌평으로 삼고, 사두(沙豆)를 좌장(左將)으로 삼았다. 3월에 쌍현성(雙峴城)을 쌓았다.(삼국사기 백제 아신왕 7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