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326 |
백제사 일본서기 읽는 법 1. 개요
[1]
다음은 중부 이하 한반도의 가장 많은 부분을 통치하였던 백제 30왕 7백년 왕력이다. 앞으로 우리 교과서에 이렇게 실릴 것으로 본다. [1기] 백제시대 4백년 1.비류 ------------------------------------ 12.여구 - 13.여수 - 14.여휘 [2기] 왜국, 백제 ...
|
백제사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의 상한선
[1]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이주하면 한 세대인 20년 정도가 흐른 후에 죽고 무덤에 그들의 문화를 남긴다. 예를 들어 3기 중반에 위나라 관구검 군대가 옥저 땅에서 고구려군과의 전투에서 패하고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낙동강유역 변한지역을 장악한 후에 3세기...
|
기타 ▷◁역사서가 나온 때와 정확성에 대한 논평 -『삼국사기』와『일본서기』
한국도 조선 공화국도 일본도 아닌 제 3국의 시민 - 또는 브라질이나 수오미(핀란드) 같은 친일국가의 시민 - 이 동아시아의 고대사를 배울 때, 그는『삼국사기』와『일본서기』를 접하게 된다. 그리고 그는 한국 시민이나 조선 공화국의 공민에게 “난 당신들...
|
백제사 인덕능 지석 글자 예측
[1]
아주 오래 전 이야기입니다. 어떤 분이 백제 무령왕릉 지석에 대해서 물었습니다. “무령왕은 죽음에 천자의 죽음을 기록하는 崩을 쓴 사람인데 무엇이 아쉬워 양나라로부터 책봉 받은 것(영동대장군)을 무덤 속까지 가져갑니까?” (왕) 寧東大將軍 百濟斯...
|
백제사 칼의 제조날짜란 무엇인가?
칠지도의 기년에 대하여 보통의 칼은 만든 해만 적고 있지만 칠지도는 만든 날짜까지 새겼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 칼을 만든 날짜라는 것이 무엇일까? 칼을 만드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1) 왕이 칼을 만들라는 명령을 외교를 담당하는 부서에 내린다. (2) 왕명...
|
백제사 칠지도 글자 예측
[1]
칠지도가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핵심글자를 예측하는 빈칸 넣기를 해보겠습니다. [1] 기년 예측 일본서기 신공황후 52년조에는 백제에서 가지가 7개인 칼을 보내왔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3년 전인 신공 49년도 3월에 백제가 가야 7국을 정발하...
|
백제사 월지국과 목지국 기록의 진위 판정
3세기에 작성된 삼국지와 5세기에 작성된 후한서 한조에 기록된 월지국과 목지국의 기록에 대하여 삼국사기로 한 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두 사서 동이전의 한반도 남부 묘사 시기는 후한서는 고구려-위 전쟁 전이고, 삼국지는 전쟁 후(260년대, 약 20년이 ...
|
백제사 ▷◁일본인 학자가 고증한 소아(蘇我) 집안의 일본열도 지배 1
인용자(조약돌)의 말 : 내가 2년 전(서기 2013년) 서점에서 사서 읽은 책에서 서기 7세기에 일본열도 서부를 다스린 소아씨 집안을 다룬 글이 나와서, 그 글이『삼한사의 재조명 2』의 학설(『일본서기』에 나오는 서기 7세기의 ‘천황’들은 사실은 대왕[大王]...
|
백제사 ▷◁일본인 학자가 고증한 소아(蘇我) 집안의 일본열도 지배 2
4) 요메이도 대왕이 아니었다 “요메이와 스슌은 정말 대왕이었을까? 우선 요메이부터 살펴보자. 쇼토쿠태자의 아버지로 되어 있는 인물이다.『일본서기』의 기록부터 검토해보자. 요메이가『일본서기』에 등장하는 것은 비다쓰의 죽음에 의해서다. 비다쓰 14...
|
백제사 ▷◁일본인 학자가 고증한 소아(蘇我) 집안의 일본열도 지배 3
[2]
5) 긴메이릉(우메야마고분)을 둘러싸고 “다시 이야기를 소가노 우마코로 되돌리자. 여전히 그가 대왕이었다는 데 의문을 품은 사람이 있지 않을까 생각되기 때문이다. 앞서 부계 출자계보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소가노 우마코가 대왕인지 아닌지를 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