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340 |
가야사 11대 수인천황의 연도 확인 1
[1]
고왕조의 창업자인 10대 숭신기록과 11대 수인기록에서 가장 유명한 기록이 다음 기록들입니다. 가야/신라사 연구하는 사람 치고 이 기록을 인용하지 않는 사람이 없습니다. 연도가 얼마나 정확한지 한 번 보겠습니다. *숭신 65(115년), 가을 7월, 임나국(任...
|
가야사 10대 숭신천황 연도 확인
일본서기에서 10대로 주어진, 고왕조 창업자인 숭신천황에 대한 연도를 점검하겠습니다. 얼마나 제 연도가 정확한가를 확인하면 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연도를 점검하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올리는 글들은 이미 제 책 3권에 다 활자화되어 나오는 내...
|
백제사 신무천황의 前史 7년
일본서기는 연도별로 사건을 기록하고 있는데 서기 450년을 기준으로 그 앞과 뒤의 날자 역산법이 다릅니다. 이것은제 책 <네티즌과 함께 풀어보는 한국 고대사의 수수께끼>를 보시기 바랍니다. 450년 전은 연도가 엉망이라 이 기록이 서기 몇년인지를 알기 어...
|
고구려사 고구려 고국원왕이 369년에 근초고왕의 백제를 공격한 이유
[10]
왜 고국원왕의 고구려가 369년에 근초고왕의 백제를 공격하였느냐고 물으면 대부분, “왜 그것을 제게 물어보십니까? 고국원왕이나 근초고왕에게 물어보세요?” 가 답변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것이 맞는 답이란 것이다. 369년에 고구려의 공격으로 전쟁이...
|
백제사 왜왕무의 책봉관계
[1]
왜왕무의 상표문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장수왕 63년(475) 9월 왕은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백제를 침략하여 백제왕이 도읍한 한성(漢城)을 함락시키고 그 왕 여경(餘慶) (개로왕)을 죽이고 남녀 8천 명을 사로잡아서 돌아왔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 문주왕 3년...
|
백제사 개로왕의 국서
개로왕 455~475 468 十四年冬十月癸酉朔(십사년동십월계유삭) : 14년 겨울 10월 초하루 계유일에 日有食之(일유식지) : 일식이 있었다. 469 十五年秋八月(십오년추팔월) : 15년 가을 8월, 遣將侵高句麗南鄙(견장침고구려남비) : 왕이 장수를 파견하여 고구려의...
|
백제사 462년 왜왕 무의 使持節 都督, 七國諸軍事 安東大將軍 倭國王 자칭
중국 사서인 송서를 보면 왜왕 무가 2번 사신을 보냅니다. 462년과 478년입니다. 무가 왕이 된 것은 다음 기록에 의해 462년입니다. 이 해에 왜 왕세자 흥을 안동대장군 왜국왕으로 책봉하였는데 흥이 죽고 그 동생 무가 왕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송 世祖...
|
백제사 웅략의 죽음과 武의 국서
아래는 일본서기 웅략천황조 후반부입니다. *웅략 20년(475); 겨울에 고구려가 백제를 쳐 없앰. *웅략 21년(476); 3월 문주왕에게 웅진을 주어 백제를 다시 일으키도록 함. *웅략 22년(477); 1월 백발황자를 황태자로 세움. *웅략 23년(478): (기록공백) *웅략...
|
백제사 왜왕무(倭王武)가 백제 무령왕이라는 논거
과연 백제를 구하기 위한 일념으로 흔쾌히 송나라 순제에게 올릴 상표를 몇날 며칠 밤을 새워가며 정성들여 수정보완을 거듭하여 완성하니, 마침내 역사에 길이 남을 상표문이 완성됐다. 옛 적의 상표문(472년 개로왕이 위나라에 보낸 것)그대로 황제의 가슴...
|
백제사 왜의 5왕
[2]
왜의 5왕 (The Five Kings of Wa) 3세기이후 147년간 기록이 없다가 서기 413년 중국사서에 일본기록이 나타난다. 조공을 바치고 작위를 받고자 하는 5명의 왕의 이름이 5세기에 나온다. 400년 경자년 광개토왕의 남정이후 규슈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