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340 |
신라사 신라의 서역유물
1. 금은 제품 요시미즈의 <로마문화왕국 신라>를 보면 마립간 시대의 금반지와 금팔찌가 당시 로마에서 유행하던 것이었다고 합니다. 황남대총에서 나온 금반지의 무늬가 마름모 무늬인데 당시 로마의 유행이었으며, 상감금팔찌는 비잔틴 제국의 유행이었다고 ...
|
신라사 KBS 역사추적의 문무왕비문1
[1]
한국방송공사 역사스페셜의 후속프로그램인 역사추적에 나오는 문무왕비문편을 <다시보기>를 이용하여 보았다. 문무왕의 김씨계보를 그의 비문에 적힌 계보를 따른다면 투후-7(대?)-성한왕-15대-문무왕으로 잡는다는 것이 요지다. 즉, 김씨의 시조를 전한에 들...
|
백제사 역사추적에서 논한 흑치국의 위치
[3]
역사추적의 흑치상지편을 돌려보니 흑치국의 위치가 나오는데 필리핀과 충남 덕산지역으로 크게 2가지 학설이 대립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학설이 너무 달라 한 쪽은 곧 사라지리라고 본다. 다른 한쪽도 확정되기보다는 계속 검증을 받아가며 학설의 ...
|
Q&A 세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수정]
[1]
첫번째 질문 : 삼국사기를 보면 동천왕의 이름을 '우위거'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동천왕벽비를 보면 동천왕의 이름을 '궁'이라고 했습니다. 당대의 기록인 삼국지에도 동천왕의 이름을 '위궁'이라고 했습니다. 동천왕의 이름은 '우위거'가 맞나요? '위궁(또는 ...
|
신라사 신라왕호 매금
우연히 인터넷에서 제가 2004년에 쓴 글을 하나 발견하여 일부 손질하여 다시 올립니다. =============================================================================== 마립간이란 신라 왕호에 대하여 삼국유사는 [내물-실성-...-지증]까지, 삼국사기는...
|
기타 ▩『청주 한씨 족보』에 침미다례가 나오지 않는 까닭
이 게시판에 실린 침미다례를 다룬 내 글과,『삼한사의 재조명』에 실린 일도안사 님(김상 교수님)의 글을 읽은 사람은 "만약 마한 사람이 제주도로 달아나 침미다례를 점령하고 나라를 세운 게 사실이라면, 어째서 마한 사람의 기록인『청주 한씨 족보』(이하...
|
백제사 4. 공취된 58성으로 보는 잔국의 위치
[3]
<가>군 - 한강유역과 경기북부에 위치함, 삼국사기에 나와야 하는 기록 1 臼模盧城: 황해 평산 구두동 2 各模盧城: 경기 장단 고미산성 3 幹卷利□: 경기 연천 간정리 4 □□城 5 閣彌城(관미성)1): 황해 남부 또는 경기 북부 6 牟盧□ 7 彌沙城: 경기 하남 미사...
|
고구려사 고국원왕의 백제 공격 이유 1. 문제
새해를 신선한 문제로 신선하게 시작하는 것이 역사학도의 길이지요. 고구려사에서 잘 아는 것으로 하나 골랐습니다. 고국원왕조입니다. *고국원왕 25년: 12월, 사신을 연나라에 보내 포로로 잡혀갔던 왕모 주씨를 귀국시킴. 연왕이 왕을 정동대장군 영주자사...
|
신라사 박제상 3. 일본서기가 기록한 미사흔의 귀국배경
일본서기 역시 박제상의 귀국 배경을 적고 있는데 하나는 신공 5년조이고 다른 하나는 인덕 38년조이다. 우선 인덕조를 보자. 정복자였던 응신이 403년 2월에 웅습을 정벌하다 화살에 맞아 죽고(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나옴) 그 아들인 토도태자가 왕이 되어 왜...
|
고구려사 고국원왕의 백제 공격 이유 2. 통설
369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기 시작한 이유에 대하여 몇가지 해설이 나와있는데 그 중에 2가지만 소개하고자 한다. 통설 1. 낙랑군 소멸로 인한 충돌설 고구려와 백제 사이에는 낙랑군이 존재하여 완충지대 역할을 하였는데 미천왕 14년(313년)에 낙랑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