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204 |
백제사 광개토왕비문의 신묘년조에 대한 삼국사기 기록 1
설명을 어느 수준으로 어디부터 시작하느냐가 문제인데, 독자들이 삼국사기나 일본서기를 읽어본 적이 없으며, 방송이나 인터넷에서 보고 들은 수준정도로서 고대사에 관한 별다른 기초지식이 없다고 가정하고 다시 시작하고자 합니다. =====================...
|
기타 운영자님 - 이 게시판에 실린 제 글 두 편을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4]
오랜만입니다.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부디 평안하시기를 빕니다. 오늘 이렇게 찾아온 건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세 해 전 <새한국고대사>의 게시판에 실은「▷◁후기신라에서 금속활자를 만들었을 가능성」과,「▷◁이른바 ‘증도가자’의 진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한...
|
백제사 노중국의 무왕의 왕비에 대한 견해를 보고
우선 뉴스를 보시겠습니다.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백제사를 전공한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는 9일 오후 서울 송파구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열리는 백제학회 학술회의에서 백제 무왕에 대...
|
백제사 오늘 뉴스에 노종국교수의 주장이 소개되엇습니다
[1]
http://v.media.daum.net/v/20180309070011269 내용없는 주장이더군요 반박부탁합니다
|
백제사 대방군의 위치로 보는 낙랑군의 위치
낙랑이 만주에 위치하느냐(요하유역이 주류설이고 난하유역설도 있음) 한반도에 위치하느냐(대동강유역이 주류설이고 함흥설도 있음)의 논쟁은 뿌리가 깊다. 근대 이전부터 논란이 된 사항인데 그 이유는 사료가 이분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낙랑군의 ...
|
가야사 일본서기 수인천황 즉위연도 검증
수인천황이 언제 즉위했는지를 보겠습니다. 특히 수인 2년조 임나사신 소나갈질지 기록과, 수인 3년조의 신라왕자 천일창 기록은 한일고대사 연구자라면 누구나 아는 유명한 기록들입니다. 제 책의 연대(괄호 안이 서기 연대임)가 맞는지를 보겠습니다. 일본서...
|
기타 인하대 사학과의 임나 위치 비정에 관한 의견
[1]
최근 인하대 사학과 연구팀이 임나의 위치를 한반도 남부가 아니라 대마도로 비정했다는 뉴스를 보고 인터넷을 찾아보았다. 그 연구결과에 대한 내 의견을 주석 형태로 달아보았다. [출처] 인하대 연구팀 "일본 주장 임나는 가야가 아닌 대마도" 임나(任那)는 ...
|
Q&A 삼한은 배우길 전삼한과 후삼한으로 나누어 배웟는데요
[2]
어떻게 구분되는가요 즉 전삼한은 언제 망햇나요 그리고 삼한사의 재조명3권은 나올계획이 잇으신가요 또 네티즌고대사는 재발간계획 잇으신가요
|
백제사 3세기 한국 고대사의 3대 문제
3세기에 여러가지 문제들이 존재하지만 흔히들 말하는 3세기 한국고대사의 3대 문제는 아래와 같다. << 고고학 >> 가. 3세기 초반(200~229)에 한강유역에 등장하는 초기 고구려식 고분군의 기원 나. 3세기 후반(270~299)에 낙동강유역에 등장하는 북방 유목민...
|
Q&A 왜여왕 비미호의 출생과 사망연도
일본서기 신공황후조 마지막 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 69년, 여름 4월, 황태후가 치앵궁에서 죽었다. [이때 나이 100세였다.]. 일본서기 집필진은 신공이 왜 69년째에 죽었다고 했을가? 왜 68년이나 70년이 아닐까? 그 이유는 일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