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340 |
백제사 미후성
642년에 백제 의자왕이 신라로부터 공취한 40 여 성은 한강 유역으로 보는 견해와 당시 대야성 지역인 경남 서부 지역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나는 후자의 견해를 취하는 편이다. 그 이유는 1달 뒤에 장군 윤충이 대야성을 함락시켰다는 사실때문이다. 즉 40여...
|
백제사 ▩두『당서』가 인정하는 백제의 담로 건설
"발해말갈과 신라가 그 땅을 나누어 차지하니, 백제의 종족은 마침내 끊어졌다." ― 『구당서』「백제전」 "무후(武后. 측천무후. 이름은 무조武照. 주周를 세운 황제이기도 합니다 - 옮긴이)가 또다시 그 손자 경(敬. 부여 융의 손자. 즉 이름은 부여 경. 또는...
|
백제사 ▩백제와 남조의 관계에 관한 짧은 생각
중국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백제는 임금이 신하들의 관직을 남조의 군주에게서 얻어가는 일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따져보면 뭔가 이상합니다. 만약 남조 사서들의 주장대로 남조가 백제의 '종주국'이었다면 남조의 군주는 백제가 요청하건 ...
|
백제사 641년 서명천황의 죽음과 백제의 대란
일본서기를 보면 서명천황이 죽던 641년에 백제에 대란이 발생한다. 왜 왜국의 왕이 죽었는데 백제에 대란이 발생하는가? 641년의 대란 결과 642년에 왜국에는 여왕이 즉위한다. 일본서기는 서명의 왕비가 즉위하니 이 사람이 황극천황이라고 하지만 당시 왜국...
|
백제사 ▩[퍼온 글]백제의 후손임을 밝힌 대만인 공군조종사
[1]
*이 자료는 서기 2000년 4월 3일, 'FRANCESCO'(프란체스코. 전자우편 주소는shinfran@yahoo.co.kr) 라는 분이 『인물과 사상』의 누리집(:홈페이지)에 올리신 글을 퍼온 것입니다. 부디 이 자료가 백제의 해외 담로를 연구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빕니...
|
신라사 ▩[인용]사벌왕에 대한 고찰
박씨집단이 월성에 도읍한 때는 제 5대 파사왕 22년(서기 101년)이었다. 그리고 월성에 먼저 와서 살던 이곳의 땅 임자는 다음에 다시 밝혀질 터이지만 바다로 이동해 온 석탈해였다. 따라서 제 5대 파사왕이 석탈해를 처음으로 만나서 월성 땅을 흥정(:실제...
|
기타 ▩마한 왕자의 망명과 서나벌의 세력권
만약 청주 한씨의 시조가 청주로 달아나서 “청주 한씨”의 시조가 되었다면, 사벌왕이 정한 임시 도읍은 오늘날의 청주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니면 서나벌이 서기 9년에 강원도뿐만 아니라 충청북도까지 세력을 뻗치고 있었기 때문에, 마한의 왕족이 박씨...
|
신라사 ▩서기 42년 이전에, 영역을 충청북도까지 확장한 서나벌
『삼국유사』「노례왕」조에는 "건무(建武) 18년(서기 42년)에 이서국(伊西國)을 무너뜨렸고 …." 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그런데 서나벌은 이 무렵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학계가 이서국이 있었다고 보는 곳)은커녕, 그보다 북쪽에 자리잡은 상주(尙州)에도 발...
|
신라사 ▩덧붙이는 글 : 삼한백제와 이서국, 그리고 서나벌
만약 서나벌이 서기 42년 이전에 충북 내륙지대를 손에 넣었다는 가설과 전북의 이서국을 무너뜨렸다는 가설을 사실로 받아들일 경우, 삼한백제와 서나벌이 왜 싸웠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삼한백제는 마한의 제후국들을 정복하면서 자신의 중심지(:당시...
|
신라사 ▩서라벌 탈해왕 ― 1. 노례왕(:유리이사금)의 재위기간
『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는 동명이인으로 보이는 두 ‘탈해’가 나옵니다. 바로 탈해이사금과 탈해 대보죠. 일찍이 저는 전자(前者)를 실존 인물로, 후자(後者)를 꾸며낸 인물로 여겨 전자의 건국 연대만 연구했는데 일도안사 님의 학설을 읽은 뒤 기록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