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340 |
백제사 1. 광개토왕 비문의 기년 조정 재해석
[2]
1. 광개토왕 비문의 기년 조정 재해석 광개토태왕의 즉위년도를 삼국사기는 392년 비문에는 391년으로 적혀있다. 광개토왕(391-412년) 비문은, 백제와 왜 사이의 화호(和好), 결호(結好), 교친(交親)을 다음과 같이 표현 했다: “왜가 신묘년(391년)이래 바다...
|
백제사 백제왕력 (삼한+온조+야마토)
백제왕력 (삼한+온조+야마토) [0기] 변진미오야마국 시대 247년 1.비미호(240년대) ~ 2. 일여(250년대) ~ 3.숭신(301)~4.수인(320)~5.경행(350)~6.성무(362)~7.중애(362)-------------------------- [1기] 삼한백제 시대 3백년 여구(372) - 여휘(386) - 여영(...
|
백제사 삼국사기 원사료 편찬자의 고민
[5]
삼국사기 원사료라면 구삼국사를 비롯하여 해동고기, 삼한고기 등 여러 가지 사료가 있을 것이다. 김부식을 비롯한 삼국사기 편찬진은 이전 사료를 중국사료와 비교하면서 정리했을 뿐이다. 이들은 일본사료는 보지 않았다. 삼국사기 편찬진은 유교적 합리주의...
|
신라사 ▷◁한국의 국사 교과서에 나오는 내물이사금에 대한 설명을 받아들일 수 없는 까닭
[1]
먼저 제가 가지고 있는 한국의『국사』교과서들에 나오는 내물이사금에 대한 설명을 인용하겠습니다. “신라는 4세기 후반 내물왕 때에 낙동강 동쪽의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하고 고대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이때 신라는 김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이 확립되...
|
신라사 ▷◁내물이사금의 시호가 지닌 뜻
제가 10년 전에 꺼낸 가설과, 6년 전부터 생각했던 것들과, 올해(서기 2016년 현재) 생각해낸 것을 한 데 엮어서 올립니다. 먼저 글 한 편을 인용 하겠습니다 : ↓ (인용 시작) 내물마립간의 성과 이름은? “그야 삼국사기에 성은 金이라고 했으니까 김씨고, 이...
|
백제사 칠지도 제작지에 관한 최근 논의
230년에 목지국 진왕이 왜여왕 비미호에게 준 칠지도의 제작지에 관한 여러 의견들 중에 충남 서산설이 상당히 유력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당시 충남 서산이 목지국 영토였기 때문이었다. ---------------------------------------------------- 일본 국보로 ...
|
백제사 최근의 칠지도 관련 석사논문
최근(2004년)에 우연히 00대에서 나온 <백제 칠지도 명문의 연호와 제작연대>라는 석사논문을 하나 보았다. 논문 자체는 90년대 이전에 여기저기 떠돌아다녔던, 그러나 지금은 다 사라져 흔적을 겨우 찾아보는 정도의, 칠지도 연호 관련 이야기를 모은 것으로...
|
백제사 일본서기 읽는 법 9. 신공황후조의 구성
비류에서 여휘에 이르는 백제왕 14명을 잘라내고 대신 응신 앞을 메우기 위하여 일본전역을 뒤져본 결과 과거 2~3세기에 임나가야인들이 구주에 세웠던 야마대국 기록이 나왔다. 이 외에도 또 무슨 기록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일본서기 편집진은 야마대국...
|
Q&A 부가기능 설치
관리자님께; 포럼 사이트에 글을 올릴 때 수정 및 삭제 기능과 사진 탑재 기능을 살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백제사 일본서기 읽는 법 8. 응신의 즉위와 그 이전시대
일본서기의 주축은 396년 9월에 응신 때 웅진에서 구주로 천도하였다가 기내에 자리를 잡고 7왕 81년을 지낸 후, 477년 4월 웅략 때 다시 백제의 응진으로 천도해간 백제 왕력이다. 이후 7세기 중후반 백제왕족들이 다시 왜국으로 이주한 것이 고대 일본사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