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Q&A
새한국고대사 포럼 안내
|
주성지 |
2006-08-08 |
64322 |
백제사 각 지역별 지배층의 묘제
남제서에서 동성왕이 책봉을 요구한 인물들 중 호남지역이 나오는 경우: (1) 여씨 여고(餘古) - 아차왕(阿錯王) 여력(餘歷) - 매로왕(邁盧王) 여고(餘固) - 불사후(弗斯侯) (2) 목씨 목간나(木干那) - 면중후(面中侯) (3) 사씨 사법명(沙法名) - 매라왕(邁羅王...
|
백제사 초기 백제의 수도
백제를 건국한 비류와 온조가 낙랑과 말갈을 피하여 요서에서 백성들을 이끌고 황해를 건너 상륙한 미추홀은 인천이 아니라 인주, 즉 《삼국유사》의 기록대로 충남과 경기의 경계부근인 지금의 아산만이다. 인천은 백제의 건국과 무관하다. 고고학적으로도 인...
|
기타 목록에 글쓴이 이름이 나오도록
운영자님께; 여기에 저만 글을 올리는 것이 아니므로 바로 누가 쓴 글인지 알 수 있도록 글 목록에 글쓴이 이름이 나오도록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백제사 일본서기 제21대 웅략천황
[1]
455년 *백제본기 비유왕 29년, 가을 9월, 흑룡이 나타났다가 잠시 후에 구름과 안개가 끼여 캄캄해지면서 날아갔다. 왕이 죽었다. *신라본기 눌지마립간 39년, 겨울 10월, 고구려가 백제를 침범하므로 왕이 군사를 보내 구원하게 하였다. 삼국사기 비유왕조를...
|
백제사 일본 곤지신사의 제사
일본에는 5세기 중반 오사카 일대의 최고 권력자였던 곤지에 대한 전설이 지금도 곳곳에 남아있다. 거기에 곤지신사라는 신사도 있어서 매년 제사를 지낸다. [문제] 일본의 곤지신사는 매년 몇 월(음력)에 제사를 지내는가? 이 문제는 역사문제도 아니다. 역사...
|
신라사 11대 수인천황의 연도 확인 2
[2]
*일본서기 수인천황 3년(119년), 봄 3월, 신라왕자 천일창(天日槍)이 건너왔다. 가지고 온 물건은 우태옥(羽太玉) 한 개, 족고옥(足高玉) 한 개, 제록록(鵜鹿鹿)의 적석옥(赤石玉) 한 개, 출석(出石)의 소도(小刀) 한 구, 출석의 창 한 자루, 일경(日鏡) 한 면...
|
백제사 397년 1, 3, 5월 기록 확인
*삼국사기 백제본기, 阿莘王 6年(397), 여름 5월, 王與<倭>國結好, 以太子<腆支>爲質. 397년 5월은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최초로 왜국이 등장하는 시점입니다. 백제인은 397년에 왜국을 처음 기록하면서 그 이전에는 왜국을 만난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
|
가야사 일본서기 고왕조 존속시기
중국사료는 고왕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고왕조를 야마도국이라고 불렀는데 야마도란 倭面土(통전, 왜인들의 땅)의 이두식 표기입니다. 원전은 생략하니 직접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남왕이 70~80년 다스렸다. 2) 환제와 영제 사이에 몇...
|
가야사 11대 수인천황의 연도 확인 1
[1]
고왕조의 창업자인 10대 숭신기록과 11대 수인기록에서 가장 유명한 기록이 다음 기록들입니다. 가야/신라사 연구하는 사람 치고 이 기록을 인용하지 않는 사람이 없습니다. 연도가 얼마나 정확한지 한 번 보겠습니다. *숭신 65(115년), 가을 7월, 임나국(任...
|
가야사 10대 숭신천황 연도 확인
일본서기에서 10대로 주어진, 고왕조 창업자인 숭신천황에 대한 연도를 점검하겠습니다. 얼마나 제 연도가 정확한가를 확인하면 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연도를 점검하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올리는 글들은 이미 제 책 3권에 다 활자화되어 나오는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