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역사자료란 동북아시아 역사현안 즉, 동북공정·독도문제·역사왜곡 등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역사문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말한다. 따지고 보면 이러한 역사자료는 《삼국사기》 , 《고려사》 , 《조선왕조실록》 ,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다양한 기초자료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자료는 현재 대략 960여만 건이 이미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방대한 자료는 역사현안의 주제에 맞게 정리되어 있지 않아 하나하나 그 내용을 분류하여 정리하기에는 여간한 검색능력으로는 힘든 게 현실이다. 동북아역사넷(http://contents.nahf.or.kr)은 이러한 역사현안 관련 기초자료를 한꺼번에 모아서 볼 수 있는 웹 검색시스템이다. 올해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니 아직 많은 자료가 준비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점차 자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도서 카테고리에서 제공하는 《감계사등록(勘界使謄錄)》 , 《동문휘고(同文彙考)》 ,
《백두산정계비자료집》 , 《조청국경회담자료집》 등은 국경관련 문제와 한중 외교문제를 풀어갈 자료로 구성되어있다.
한일관계에 대한 자료로는
우선 독도, 위안부, 청구권, 어업문제 등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어있는 《한일회담외교문서》 가 있다. 이 한일회담외교문서는 전체가 텍스트로
제공되고 있어서 모든 글자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고 다국어 검색까지 가능하다.
국제관계에 대한 자료는 《근대한일외교문서》 가있다. 주로
“제너럴셔먼호사건” , “병인양요” , “오페르트사건” , “신미양요” 등에 대한 외교문서를 모아두었다.
(그림2) 한일회담외교문서 원문텍스트
다음으로 역사이슈를 살펴보자. 역사이슈란 말 그대로 역사현안이다. 그동안 재단에서는 역사현안에 대한 콘텐츠를 꾸준하게 생산했고 지금 계속
진행되고 있다. 주요 콘텐츠로는 《강서대묘3D》 , 《덕흥리고분벽화3D》 , 《안악3호분3D》 , 《디지털고구려박물관》 , 《동북공정 바로알기》
, 《일본군 위안소 지도》 , 《3D독도기행》 , 《사이버독도역사관》 , 《독도전시회》 , 《일본은독도를이렇게침탈하였다》 등 이있다.
자료의구현은3D 및 분포지도 등 시각적인 형태로 보여주고 있으며, 일부는 e-Book으로도 제공된다.
(그림3) 역사이슈 메인페이지
역사교육에 해당하는 자료중, 《온라인역사강좌》 는7대역사현안(야스쿠니신사, 일본군 ‘위안부’ , 일본교과서, 동북공정, 백두산, 독도, 동해표기)에 대한 학습자료이다.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의 경우 2012년 시작되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의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한 수업자료로서 인터넷으로 PPT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물론 방대한 물량의 역사자료와 지도자료에 연계하여 수업 중에 바로 원문을 확인하면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검색의 방법이다. 검색이야 기본적으로 검색창이라고 불리는 상자 안에다가 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된다. 그렇지만 몇 가지만 더
안다면 훨씬 정확한 검색을 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and검색과 or검색이다.
and검색은 두 검색어가 모두 들어
있는 자료를 찾아주는데, 검색어 사이에 한 칸만 비워두면 된다. 그래서 검색창에 여러 개의 단어를 넣을 경우, 그 단어들이 모두 들어 있는
자료를 찾는 것이다.
or검색의 경우는 "A | B" 라고 표현한다. 두 키워드 중 하나만 있어도 찾아주는 검색옵션인데, 여러개의 검색어가
있을 경우 사용하면 편리하다. 가령 “강화(江華)” 라는 지명을 검색하고자 할 때, 강화의 옛지명들 “갑곶” “갑비고차” “혈구진”
“강도(江都)” “심주(沁州)” 등 여러 검색어를 하나씩 입력해서 찾아야 하지만 “갑곶 | 갑비고차 | 혈구진 | 강도 | 심주(沁州)” 라고
한번만 입력해도 이들이 하나라도 들어간 모든 문서를 찾아준다.
(그림4) 검색결과와 목록
일반적으로 원문DB를 제공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텍스트자료와 이미지자료이다. 텍스트자료는 Full-Text(全文)이라고 하여 글자
하나까지의 검색이 가능하며, 한자에 대한 한글검색도 가능하다. 동북아역사넷으로 제공하는 모든 자료는 본문이나 자료(사진자료)에 대한 해설이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내용이 모두 검색 가능하며 복사 등의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한일회담외교문서』 와 같은 거질(巨帙)자료도 본문
모두를 텍스트로 구축하였다. 다만, 원본문서의 열람은 현재 재단 내에서만 할 수 있다.
이미지자료의 경우 검색은 불가능하지만 원본의 형태를
그대로 볼 수 있으며, 이미지자료 중 대표적인 것은 암각화자료 및 고구려고분벽화 자료이다. 암각화는 암각화 사진자료와 일러스트자료를 동시에
열람할 수 있으며, 고구려고분벽화는 고분의 각 벽면전체뿐 아니라 자세한 도상 하나하나를 별도로 볼 수 있다.
(그림5) 이미지뷰어(덕흥리고분벽화 널방북벽)
이러한 이미지자료는 이미지뷰어를 통해서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여기서 몇 가지 기능을 소개하자면, 특히 암각화와 고구려고분벽화의 경우 해당 자료가 위치한 지역의 GIS정보를 입력하여 지도데이터를 통해 현재 그 위치를 살펴볼 수 있으며, 해당 자료를 바로 SNS사이트(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등)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그림6) 이미지뷰어 기능버튼
(그림7) 상세화면 기능버튼
이외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는 웹검색시스템의 도움말을 참고하기 바란다. HiSTOPiA™
[동북아역사재단뉴스레터] 2012년 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