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삼국유사의 인터넷 서비스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 상용데이터베이스(누리미디어, 동방미디어)의 URL은 제외하였습니다.
http://www.buddhist-canon.com/history/T49N2039.htm
漢文電子大藏經系列 > 佛教史傳 > 大藏經史傳部 > 大正藏史傳部 > 三國遺事
삼국유사외에도 고승전 등의 자료를 찾을 수 있음.
http://www.jikji.org/삼국유사
직지프로젝트의 삼국유사 원문(Histopia의 삼국유사 원천 데이타)
원문 번역문 동시 서비스 ☞ 바람과 구름과 비
http://bluecabin.com.ne.kr/samgukyusa/samgukyusa.htm
직지프로젝트에서 입력한 삼국유사 국역문(Histopia의 삼국유사 국역문 원천 데이터)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자료
국립중앙도서관 고서 자료 중 삼국유사 원본 이미지
아래의 직지프로젝트 범례는 삼국유사 번역문에 대한 범례입니다.
이용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지프로젝트 범례
여기에 있는 삼국유사는 일연이 쓰고 이민수님이 옮기신 것으로 을유문화사에서 1994년에 출판한 [세계의 사상 1: 삼국유사] 중 왕력을 제외한 내용으로 직지프로젝트(http://www.jikji.org) 공식 문서이다 *
이 글은 강석구(stonenine@jikji.org), 김민수(minsukim@jikji.org), 그리고 김봉좌(likecho@jikji.org) 세 사람이 1999년 11월부터 시작하여 2000년 3월까지 입력작업과 교정작업을 해서 직지프로젝트에 7월에 올렸다.
이 글에 틀린 글자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이 글을 아스키 문서와 웹 문서로 바꾸면서 깨진 글자들이 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영문자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슬기틀에서 우리 글이 깨지는 일은 이 글뿐만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직지프로젝트의 우리 문학 전산화 작업에서 흔하게 발생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문서는 2000년 5월 현재 한자에서 현대문으로 번역하신 이민수 교수님이 가지고 계신 지적재산권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직지프로젝트는 이 문서를 계기로 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우리 문학의 전산화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양(量)이나 역사적, 문학적 가치로 보아 여러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진정한 '직지'의 정신을 실천하는 일이겠기에 이 문서를 직지프로젝트에 게시한다.
입력본 중 다음 한자어를 바꿨습니다. (을유문화사 쪽 번호 기준)
192쪽: 돌석([불 화火 부에 구멍 혈 穴,개 견 犬]石)이라고 한다.
-----> 환석(煥石)이라고 한다.
금속활자장 오국진 선생님의 가르침을 박상웅(vv604@hanmail.net)님께서 전해주셨습니다.
358쪽: 절의 중 간유상좌(인品遊上座)는
-----> 절의 중 간유상좌(侃遊上座)는
강직할 간(侃)자의 옛 모양이라는 것을 한기영(myiou@hanmail.net)님과 박상웅(vv604@hanmail.net)님께서 알려주셨습니다.
처음에는 '고전 전래 동화'를 전산화하려고 했는데 대부분의 출전이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라서 삼국유사의 전산화를 겁 없이 시작했습니다. 삼국유사를 전산화하면서는 다른 작품보다 느낌이 더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우리말과 글에 대한 사랑입니다. 옛사람들은 한자로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것이 당연했겠지만, 그 글을 오늘말로 바꾸는 일에서도 한자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보고는 크게 반성했습니다. 그 반성을 기본으로 이 글에서는 한자어를 우리말보다 작게 나타냈습니다. 그것이 저희가 할 수 있는 가장 조그마한 우리말 사랑입니다.
더 바람이 있다면 이 글이 밑거름이 되어 더욱 더 우리말다운 제 2, 제 3의 삼국유사가 나왔으면 합니다. 정보는 길을 잃지 않습니다. 낮은 곳에서 열려있는 정보일수록 그 가야할 방향을 잘 아는 법입니다.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직지프로젝트'의 뜻을 이해하시는 몇 분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끝내서 너무 기쁩니다. 직지프로젝트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낮은 곳에서 열려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직지 머리글
직지프로젝트 소개
직지프로젝트는 세계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든 우리 조상들의 슬기를 되살려 우리글의 전산화, 정보화, 세계화를 위한 디딤돌이 되고자 하는 정보화운동이다. 한 달에 한 권 우리 문학을 전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산화하는 대상은, 첫 번 째가 '우리 고전', 두 번 째가 '전래 동화 및 아동 문학'(어린이가 보는 글을 먼저 바른 말로), 그리고 세 번 째가 여러 사람들이 많이 읽어서 '우리 시대의 고전'으로 인정받은 글이다.
지적 저작권에 대해서
지적재산권은 인류가 지닌 가장 근본적인 자산이며, 인간을 동물과 분류하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그 재산은 모든 인류가 공유해야 하며, 또한 우리의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이다. '직지'는 지금부터 50년이 지나고, 100년이 지나 더 이상 오늘 찍은 책의 지적 재산권을 주장할 수 없고, 더 이상 그 책이 출판되지 않을 때에도 우리 자손들이 자신들의 생활의 일부가 되어 버린 인터넷에서 조상들의 아름다운 글들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다.
'직지'는 인터넷과 통신을 통해 이 문서가 널리 퍼져 개인적으로 쓰는 것을 찬성한다. 그러나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그 사용자에게 법적 책임이 있음을 밝힌다. 인쇄한 글에 대한 지적 재산권은 글쓴이와 출판사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문서를 그 뿌리로 하여 만들어진 문서는 그 뿌리가 '직지'에 있음을 밝혀야 한다. 또한 이 글을 퍼뜨릴 때에는 '직지'에서 쓴 이 글을 포함하여야 한다.
digitized by
jikji. HiSTO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