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전(僧傳)≫을 상고해 보면 이러하다. 중 팔진(八珍)은 관음보살(觀音菩薩)의
현신(現身)으로서 무리들을 모으니 1,000명이나 되었는데, 두 패로 나누어 한 패는 노력을 다했고, 한 패는 정성껏 도를 닦았다. 그 노력하는
무리들 중에 일을 맡아 보던 이가 계(戒)를 얻지 못해서 축생도(畜生道)에 떨어져서 부석사(浮石寺)의 소가 되었다. 그 소가 어느날 불경을 등에
싣고 가다가 불경의 힘을 입어 아간(阿干) 귀진(貴珍)의 집 계집종으로 태어나서 이름을 욱면(郁面)이라고 했다. 욱면이 일이 있어
하가산(下柯山)에 갔다가 꿈에 감응해서 드디어 불도를 닦을 마음이 생겼다. 아간의 집은 혜숙법사(惠宿法師)가 세운 미타사(彌陀寺)에서 그다지
멀지 않았다. 아간이 항상 그 절에 가서 염불하는데 욱면도 따라 뜰에서 염불했다고 한다. 이렇게 하기를 9년, 을미년(乙未年) 정월 21일에
부처에게 예배하다가 집의 대들보를 뚫고 올라가 소백산(小伯山)에 이르러 신 한 짝을 떨어뜨려 그곳에 보리사(菩提寺)를 짓고 산 밑에 이르러 그
육신(肉身)을 버렸으므로 그곳에 제2 보리사를 짓고 그 전당(殿堂)에 방(榜)을 써붙여, '욱면(욱面) 등천지전(登天之殿)'이라 했다. 집
마루에 뚫린 구멍이 열 아름이나 되었는데 아무리 폭우(暴雨)나 세찬 눈이 내려도 집 안은 젖지 않았다. 그 뒤에 호사자(好事者)들이 금탑(金塔)
하나를 만들어 그 구멍에 맞추어서 승진(承塵) 위에 모셔 그 이상한 사적을 기록했으니, 지금도 그 방(榜)과 탑(塔)이 아직 남아 있다.
욱면(욱面)이 간 뒤에 귀진도 또한 그 집이 신이(神異)한 사람이 의탁해 살던 곳이라 해서, 집을 내놓아 절을 만들어 법왕사(法王寺)라 하고
토지를 바쳤는데 오랜 뒤에 절은 없어지고 빈 터만 남았다.
대사(大師) 회경(懷鏡)이 승선(承宣) 유석(劉碩), 소경(小卿) 이원장(李元長)과 함께
발원(發願)하여 절을 중건(重建)했는데, 회경이 친히 토목 일을 맡았다. 재목을 처음 운반할 때, 노부(老父)가 삼으로 삼은 신과 칡으로 삼은
신을 각각 한 켤레씩 주었다. 또 옛 신사(神社)에 가서 불교의 이치를 개유(開諭)하였으므로 신사 옆 재목을 베어다가 5년 만에 공사를 마쳤다.
또 노비들을 더 주니 매우 융성하여 동남 지방에 있어서의 이름있는 절이 되었다. 사람들은 회경을 귀진의 후신(後身)이라
했다.
의론해 말한다. 고을 안의 고전(古傳)을 살펴보면, 욱면은 바로 경덕왕 때의 일이다.
징(徵[필경 진珍인 듯싶다. 아래도 역시 같다])의 본전(本傳)에 의하면 이는 원화(元和) 3년 무자(戊子[808]) 애장왕(哀莊王) 때의
일이라 했다. 경덕왕 이후에 혜공왕(惠恭王)ㆍ선덕왕(宣德王)ㆍ원성왕(元聖王)ㆍ소성왕(昭聖王)ㆍ애장왕(哀莊王) 등 5대까지는 도합 60여 년이나
된다. 귀징(貴徵[珍])이 먼저이고 욱면이 뒤이기 때문에 그 선후가 향전(鄕傳)과 어긋난다. 여기에는 이 두 가지를 다 실어서 의심이 없게
한다.
찬(讚)해 말한다.
서쪽 이웃 옛 절에 불등(佛燈)이
밝았는데,
방아 찧고 절에 오니
이경(二更)이네.
한 마디 염불마다 부처가 되려하여,
손바닥 뚫어 노끈 꿰니 그 몸도
잊었네.
digitized by
jikji. HiSTO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