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종(瑜伽宗)의 조사(祖師) 고승(高僧) 대현(大賢)은 남산(南山) 용장사(茸長寺)에
살았다. 그 절에는 미륵보살(彌勒菩薩)의 돌로 만든 장육상(丈六像)이 있었다. 대현이 항상 이 장육상을 돌면 장육상도 역시
대현을 따라 얼굴을 돌렸다. 대현은 슬기롭고 분명하고 정밀하고 민첩해서 판단하고 분별하는 것이 명백했다. 대개
법상종(法相宗)의 전량(銓量)은 그 뜻과 이치가 그윽하고 깊어서 해석하기가 매우 어렵다. 때문에 중국의 명사 백거이(白居易)도 일찍이
이것을 연구하다가 다 알지 못하고 말했다. "유식(唯識)은 뜻이 그윽하여 알기 어렵고, 인명(因明)은 분석해도 열리지 않는다."
그러니 학자들이 배우기 어려운 것은 당연했다. 그러나 대현은 홀로 그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잠시 동안에 그윽하고 깊은
뜻을 터득하여 회회유인(恢恢游刃)하였다. 이리하여 동국(東國)의 후진(後進)들은 모두 그 가르침에 따랐고, 중국의 학사(學士)들도
간혹 이것을 얻어 안목(眼目)으로 삼았다.
경덕왕(景德王) 천보(天寶) 12년 계사(癸巳[753]) 여름에 가뭄이 심하니 대현을
대궐로 불러들여 ≪금광경(金光經)≫을 강(講)하여 단비를 빌게 했다. 어느날 재를 올리는데 바라를 열어 놓고 한참 있었으나
공양하는 자가 정수(淨水)를 늦게 올리므로 감리(監吏)가 꾸짖었다. 이에 공양하는 자가 말했다. "대궐 안 우물이 말랐기
때문에 먼 곳에서 떠오느라고 늦었습니다." 대현은 그 말을 듣고 말했다. "왜 진작 그런 말을 하지 않았는가."
낮에 강론할 때 대현은 향로를 받들고 잠자코 있으니 잠깐 사이에 우물물이 솟아나와서 그 높이가 일곱 길이나 되어 찰당(刹幢)의 높이와
가지런하게 되니, 궁중(宮中)이 모두 놀라서 그 우물을 금광정(金光井)이라 했다. 대현은 일찍이 스스로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
일컬었다.
찬(讚)해 말한다.
남산(南山)의 불상(佛像)을 도니 불상도 따라 얼굴
돌려,
청구(靑丘)의 불교가 다시 중천(中天)에
떠올랐네.
궁중 우물을 솟구치게 한 것이,
향로 한 줄기 연기에서 시작될 줄 누가
알리.
그 이듬해 갑오(甲午[754])년 여름에 왕은 또 고승 법해(法海)를 황룡사(黃龍寺)로
청해 ≪화엄경(華嚴經)≫을 강론하게 하고, 친히 가서 향을 피우고 조용히 말했다. "지난해 여름에 대현법사(大賢法師)는
≪금광경(金光經)≫을 강론하여 우물물을 일곱 길이나 솟아나오게 했소. 그대의 법도(法道)는 어떠하오." 법해가
말한다. "그것은 특히 조그만 일이어서 족히 칭찬할 것이 못됩니다. 이제 창해(滄海)를 기울여서 동악(東岳)을 잠기게
하고, 서울을 물에 떠내려가게 하는 것도 또한 어렵지 않습니다." 왕은 믿지 않고 농담으로만 여겼다. 오시(午時)에
강론하는데 향로를 안고 고요히 있노라니 잠깐 사이에 궁중에서 갑자기 우는 소리가 나고, 궁리(宮吏)가 달려와서 보고한다. "동쪽
연못이 이미 넘쳐서 내전(內殿) 50여 칸이 떠내려갔습니다." 왕이 멍하니 어쩔 줄을 몰라하니 법해가 웃으면서 말한다.
"동해가 기울고자 수맥(水脈)을 먼저 불린 것뿐입니다." 왕은 자기도 모르게 일어나 절을 했다. 이튿날
감은사(感恩寺)에서 아뢰었다. "어제 오시(午時)에 바닷물이 넘쳐흘러서 불전(佛殿)의 뜰 앞까지 밀려 왔다가 저녁때에 물러갔습니다."
이 일로 해서 왕은 더욱 법해를 믿고 공경했다.
찬(讚)해 말한다.
법해(法海)의 물결 움직임을 보니 법계(法界)는 넓기도
해라,
사해(四海)를 늘이고 줄이는 것도 어려울 것
없네.
높은 수미(須彌)를 크다고만 말하지
말라,
모두 우리 스님의 한 손가락 끝에 있느니.
[이것은
석해石海가 말한 것이다]
digitized by
jikji. HiSTO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