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 4월 27일이었다.
율사가 교법(敎法)을 받고 금산사(金山寺)를 세우고자 하여 산에서 내려와 대연진(大淵津)에
이르니, 갑자기 용왕(龍王)이 나와서 옥가사(玉袈裟)를 바치고 팔만권속(八萬眷屬)을 거느리고 그를 호위하여 금산수(金山藪)로 가니, 사방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어 며칠 안에 절이 완성되었다. 또 미륵보살이 감동하여 도솔천에서 구름을 타고 내려와 율사에게 계법(戒法)을 주니 이에
율사는 시주(施主)를 권하여 미륵장육상(彌勒丈六像)을 만들고, 또 미륵보살이 내려와서 계법을 주는 모양을 금당(金堂) 남쪽 벽에 그렸다.
상(像)은 갑진(甲辰[764])년 6월 9일에 완성하여 병오(丙午[766])년 5월 1일에 금당에 모셨으니, 이 해가 대력(大曆)
원년이었다.
율사가 금산사에서 나와 속리산으로 가는 도중에 우차(牛車)를 탄 사람을 만났는데 그 소들이
율사의 앞에 와서 무릎을 꿇고 우니 수레에 탄 사람이 수레에서 내려와 물었다. "무슨 까닭으로 이 소들이 스님을 보고 우는 것입니까.
그리고 스님은 어디서 오시는 분입니까." 율사가 말한다. "나는 금산수(金山藪)의 중 진표(眞表)요.
나는 일찍이 변산(邊山)의 불사의방(不思議房)에 들어가 미륵·지장의 두 보살 앞에서 친히 계법(戒法)과 진생(眞생)을 받았기 때문에
절을 지어 길이 수도(修道)할 곳을 찾아 오는 것입니다. 이 소들은 겉은 어리석은 듯하지만 속은 현명합니다. 내가 계법받는
것을 알고, 불법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무릎을 꿇고 우는 것입니다." 그 사람은 이 말을 다 듣고 나더니 말한다.
"짐승도 오히려 이러한 신심(信心)이 있는데 하물며 나는 사람으로서 어찌 무심하겠습니까." 그는 즉시 손으로 낫[렴]을
쥐고 스스로 자기 머리털을 잘라 버렸다. 율사는 자비한 마음으로 다시 그의 머리를 깎아 주고 계를 주었다. 이들은 속리산
골짜기 속에 이르러 길상초(吉祥草)가 난 곳을 보고 표를 해 두었다. 그들은 명주(溟州) 해변으로 돌아와 천천히 가는데, 물고기와
자라 등속이 바다에서 나와 율사의 앞에 오더니 몸을 맞대어 육지처럼 만들어 주므로 율사는 그것을 밟고 바다에 들어가서 계법을 외워 주고 다시
나가 고성군(高城郡)에 이르렀다. 여기에서 금강산(金剛山)으로 들어가서 비로소 발연수(鉢淵藪)를 세우고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열었다.
여기에서 7년 동안 살았는데, 명주(溟州) 지방에 흉년이 들어서 사람들이 모두 굶주렸다. 율사가 이들을 위해서 계법을
설(說)하니 사람마다 받들어 지켜서 삼보(三寶)에 공경을 다하여, 갑자기 고성(高城) 바닷가에 무수한 물고기들이 저절로 죽어서 나왔다.
사람들이 이것을 팔아 먹을 것을 장만하여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율사는 발연수(鉢淵藪)에서 나와 다시 불사의방(不思議房)에 이르렀는데 그 후에는 고향으로
가서 그 아버지를 뵙기도 하고 혹은 진문대덕(眞門大德)의 방에 가서 살기도 했다. 이때 속리산의 고승 영심(永深)이 대덕(大德)
융종(融宗) 불타(佛陀) 등과 함께 율사가 있는 곳에 와서 청했다. "우리들은 천릿길을 멀다 하지 않고 와서 계법을 구하오니
법문(法門)을 주시기 바랍니다." 율사가 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으니 세 사람은 복숭아나무 위에 올라가 거꾸로 땅에 떨어지면서
맹렬히 참회했다. 이에 율사가 교(敎)를 전하여 관정(灌頂)하고 드디어 가사와 바리때와 ≪공양차제비법(供養次第秘法)≫
1권과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2권과 간자(簡子) 189개를 주었다. 다시 미륵진생(彌勒眞생) 아홉째 간자와
여덟째 간자를 주면서 경계했다. "아홉번째 간자는 법이요, 여덟째 간자는 신훈성불종자(新熏成佛種子)다. 내가 이미
너희들에게 주었으니 가지고 속리산으로 돌아가라. 그 산에 길상초(吉祥草)가 난 곳이 있으니, 거기에 정사(精舍)를 세우고 이 교법에
의해서 널리 인간계(人間界)와 천상계(天上界)의 중생들을 건지고, 후세에까지 전하도록 하라." 영심 등이 가르침을 받들고 바로
속리산에 가서 길상초가 난 곳을 찾아 절을 세우고 길상사(吉祥寺)라고 했다. 영심은 여기에서 처음으로 점찰법회를 열었다.
율사는 그 아버지와 함께 다시 발연사에 가서 함께 도업(道業)을 닦아 효도를 다했다.
율사가 세상을 떠날 때 절의 동쪽 큰 바위 위에 올라가서 죽으니 제자들이 그 시체를 옮기지
않고 그대로 공양하다가 뼈가 흩어져 떨어지자 흙으로 덮어 묻어서 무덤을 만들었다. 그 무덤에 푸른 소나무가 바로 나더니 세월이 오래
되자 말라죽었다. 다시 나무 하나가 났는데 뿌리는 하나이더니 지금은 나무가 쌍으로 서 있다.
대개 그를 공경하는 자가 있어 소나무 밑에서 뼈를 찾는데, 혹은 얻기도 하고 혹은 얻지
못하기도 했다. 나는 율사의 뼈가 아주 없어질까 두려워하여 정사(丁巳[1197])년 9월에 특히 소나무 밑에 가서 뼈를 주워 통에
담았는데 3홉 가량이나 되었다. 이에 큰 바위 위에 있는 쌍으로 난 나무 밑에 돌을 세워 뼈를 모셨다.
이 기록에 실린 진표의 사적은 발연석기(鉢淵石記)와는 서로 다른다. 때문에
영잠(瑩岑)이 기록한 것만 추려서 싣는 것이다. 후세의 어진 이들은 마땅히 상고할 것이다. 무극(無極)은
쓴다.
digitized by
jikji. HiSTO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