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왕(善德王) 때에 중 생의(生義)는 항상 도중사(道中寺)에 살고 있었다.
어느날 꿈에 한 중이 그를 데리고 남산(南山)으로 올라가서 풀을 매어 표를 해 놓게 하고는 산 남쪽 골짜기에 와서 말한다.
"내가 이곳에 묻혀 있으니 스님은 이것을 파내다가 고개 위에 편하게 묻어 주시오." 꿈에서 깨자 그는 친구와 함께 표해
놓은 곳을 찾아 그 골짜기에 이르러 땅을 파자 거기에서 석미륵(石彌勒)이 나왔으므로 삼화령(三花嶺) 위로 옮겨 놓았다. 선덕왕 13년
갑신(甲申[644])에 그곳에 절을 세우고 살았는데 뒤에 절 이름을 생의사(生義寺)라고 했다[지금은 잘못 전해져서 성의사性義寺라고 한다.
충담사忠談師가 해마다 3월 3일과 9월 9일이면 차를 달여서 공양한 것이 바로 이 부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