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본기(新羅本紀)≫ 제4권에 이렇게 말했다. "제19대
눌지왕(訥祗王) 때 중 묵호자(墨胡子)가 고구려에서 일선군(一善郡)에 오자 그 고을 사람 모례(毛禮[혹은 모녹毛綠이라고도 씀])가 집 안에 굴을
파서 방을 만들어 편안히 있게 했다." 이때 양(梁)나라에서 사신을 통해 의복과 향(香[고득상高得相의 영사시詠史詩에는, 양梁나라에서 사자使者인
중 원표元表 편에 명단溟檀과 불상佛像을 보내 왔다고 했다])을 보내 왔는데 군신(君臣)들은 그 향의 이름과 쓰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이에 사람을 시켜 향을 가지고 두루 나라 안을 돌아다니면서 묻게 했다. 묵호자(墨胡子)가 이를 보고 말했다.
"이는 향이라는 것으로, 태우면 향기가 몹시 풍기는데, 이는 정성이 신성(神聖)한 곳에까지 이르는 때문입니다.
신성(神聖)이란 삼보(三寶)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만일 이것을 태우고 축원(祝願)하면 반드시 영험이 있을 것입니다."[눌지왕訥祗王은
진晉·송宋때 사람이다. 그런데 양梁에서 사신을 보냈다고 한 것은 잘못된 듯 싶다] 이때 왕녀(王女)의 병이 위중하여
묵호자를 불러 향을 피우고 축원하게 했더니 왕녀의 병이 나았다. 왕은 기뻐하여 예물을 후히 주었는데 갑자기 그의 간 곳을 알 수가
없었다.
또 21대 비처왕(毗處王) 때에 이르러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시자(侍者) 세 사람을 데리고
역시 모례(毛禮)의 집에 왔는데 모습이 묵호자와 비슷했다. 그는 여기에서 몇 해를 살다가 아무 병도 없이 죽었고, 그 시자 세 사람은
머물러 살면서 경(經)과 율(律)을 강독(講讀)하니 간혹 신봉(信奉)하는 사람이 생겼다[주注에 말하기를 "본비本碑와 모든 전기傳記와는 사실이
다르다"고 했다. 또 ≪고승전高僧傳≫에는 서천축西天竺 사람이라고 했고, 혹은 오吳나라에서 왔다고
했다].
아도본비(我道本碑)를 상고해 보면 이러하다. 아도는 고구려 사람이다.
어머니는 고도령(高道寧)이니, 정시(正始) 연간(240~248)에 조위(曹魏) 사람 아(我[아我는 성姓임])굴마(굴摩)가 사신으로
고구려에 왔다가 고도령과 간통하고 돌아갔는데 이로부터 태기가 있었다. 아도가 다섯 살이 되자 어머니는 그를 출가(出家)시켰는데, 나이
16세에 위(魏)나라에 가서 굴마를 뵙고 현창화상(玄彰和尙)이 강독하는 자리에 나가서 불법을 배웠다. 19세가 되자 또 돌아와
어머니께 뵙자 어머니가 말했다. "이 고구려는 지금까지도 불법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앞으로 3,000여 달이 되면 계림(鷄林)에서
성왕(聖王)이 나서 불교를 크게 일으킬 것이다. 그 나라 서울 안에 일곱 곳의 절터가 있으니, 하나는 금교(金橋) 동쪽의
천경림(天鏡林[지금의 흥윤사興輪寺이다. 금교金橋는 서천교西天橋로서 우리 속명에는 솔다리[松橋]이다. 절은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처음 그 터를 잡았는데 중간에 폐지되었다가 법흥왕法興王 정미丁未(527)에 이르러 공사를 시작하며 을묘乙卯년에 크게 공사를
일으키고 진흥왕眞興王 때에 이루어졌다])이요, 둘은 삼천(三川)의 갈래[지금의 영흥사永興寺로, 흥륜사興輪寺와 한때에 세워졌다]요, 셋은
용궁(龍宮)의 남쪽[지금의 황룡사皇龍寺다. 진흥왕眞興王 계유癸酉에 공사가 시작되었다]이요, 넷은 용궁(龍宮)의 북쪽(지금의
분황사芬皇寺다. 선덕왕善德王 갑오甲午년에 공사가 시작되었다]이요, 다섯은 사천(沙川)의 끝[지금의 영묘사靈妙寺다.
선덕왕善德王 을미년乙未年에 공사가 시작되었다]이요, 여섯은 신유림(神遊林[지금의 천왕사天王寺. 문무왕文武王 기묘년己卯年에
공사가 시작됐다])이요, 일곱은 서청전(서請田[지금의 담엄사曇嚴寺])이다. 이것은 모두 전불(前佛) 때의 절터이니 불법이 앞으로 길이
전해질 곳이다. 너는 그곳으로 가서 대교(大敎)를 전파하면 응당 네가 이 땅의 불교의 개조(開祖)가 될 것이다."
아도(我道)는 이 가르침을 듣고 계림(鷄林)으로 가서 왕성(王城) 서쪽 마을에 살았는데 곧 지금의 엄장사(嚴莊寺)이다, 때는
미추왕(未鄒王) 즉위 2년 계미(癸未[263])였다. 그가 대궐로 들어가 불법(佛法) 행하기를 청하니 당시 세상에서는 보지 못하던
것이어서 이를 꺼리고, 심지어는 죽이려는 자까지 있었다. 이에 속림(續林[지금의 일선현一善縣]) 모록(毛祿)의 집[록綠은 예禮와 글자
모양이 비슷한 데서 생긴 잘못. ≪고기古記≫에 보면, 법사法師가 처음 모록毛祿의 집에 오니 그때 천지가 진동했다.
당시 사람들은 중이라는 명칭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를 아두삼마阿頭삼마라고 불렀다. 삼마삼마는 우리말로 중이니 사미沙彌란
말과 같다]으로 도망해 가서 숨었다. 미추왕(未鄒王) 3년에 성국공주(成國公主)가 병이 났는데 무당과 의원의 효험도 없으므로
칙사(勅使)를 내어 사방으로 의원을 구했다. 법사(法師)가 갑자기 대궐로 들어가 드디어 그 병을 고치니 왕은 크게 기뻐하여 그의
소원을 묻자 법사(法師)는 대답했다. "빈도(貧道)에게는 아무 구하는 일이 없고, 다만 천경림(天鏡林)에 절을 세워서 크게 불교를
일으켜서 국가의 복을 빌기를 바랄 뿐입니다." 왕은 이를 허락하여 공사를 일으키도록 명령했다. 그때의 풍속은 질박하고
검소하여 법사는 따로 지붕을 덮고 여기에 살면서 강연(講演)하니, 이때 혹 천화(天花)가 땅에 떨어지므로 그 절을 흥륜사(興輪寺)라고 했다.
모록(毛祿)의 누이동생의 이름은 사씨(史氏)인데 법사에게 와서 중이 되어 역시 삼천(三川) 갈래에 절을 세우고 살았으니 절 이름을
영흥사(永興寺)라고 했다. 얼마 안 되어 미추왕(未鄒王)이 세상을 떠나자 나라 사람들이 해치려 하므로 법사는 모록의 집으로 돌아가
스스로 무덤을 만들고 그 속에서 문을 닫고 자절(自絶)하여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불교도 또한 폐해졌다. 23대
법흥대왕(法興大王)이 소량(蕭梁) 천감(天監) 13년 갑오(甲午[514])에 왕위에 올라 불교를 일으키니 미추왕 계미(癸未[263])에서
252년이나 된다. 고도령이 말한 3,000여 달이 맞았다 할 것이다.
이렇게 보면, ≪본기(本記)≫와 본비(本碑)의 두 가지 설(設)이 서로 어긋나서
같지 않은 것이 이와 같다. 내가 시험삼아 의론하자면 이러하다. 양(梁)과 당(唐)의 두 승전(僧傳)과
≪삼국본사(三國本史)≫에는 모두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의 불교의 시작이 진(晉)나라 말년인 태원(太元) 연간이라 했으니,
순도(順道)·아도(我道) 두 법사가 소수림왕(小獸林王) 갑술(甲戌[374])에 고구려에 온 것은 분명하여 이 전기(傳記)는 잘못되지 않았다.
만일 비처왕(毗處王) 때에 처음 신라에 왔다면, 그것은 아도가 고구려에 100여 년이나 머물러 있다가 온 것이 되니 아무리
대성(大聖)의 행동이나 동작이 보통 사람과 다르다고는 하지만 꼭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다. 그리고 또 신라에서 불교를 시작한 것이
이처럼 늦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 만일 미추왕 때에 있었다고 하면 이것은 고구려에 온 갑술(甲戌[374])년보다 100여 년이나
앞서는데 이때는 계림(鷄林)에 아직 문물이나 예교(禮敎)가 있지 않았고, 나라 이름조차도 아직 정하지 않았을 때이니 어느 겨를에 아도가 와서
불법 믿기를 청했겠는가. 또 고구려에도 들르지 않고 건너뛰어 신라로 왔다는 말은 맞지 않는 말이다. 가령 잠시 일어났다가
폐해졌다고 하더라도 어찌 그 중간에 적막하게 아무 소문도 없었으며, 향의 이름조차 알지 못했겠는가? 연대의 하나는 어찌 그리
뒤졌으며, 하나는 어찌 그리 앞섰단 말인가
생각건대 불교가 동방으로 점점 번지던 형세는 필경 고구려와 백제에서 시작하여 신라에서
그쳤을 것이다. 곧 눌지왕(訥祗王)과 소수림왕(小獸林王)의 시대가 서로 가까우니 아도가 고구려를 떠나 신라로 온 것은 마땅히 눌지왕
시대였을 것이다. 또 왕녀의 병을 고친 것도 모두 아도가 한 일이라고 전하니 소위 묵호(墨胡)란 것도 참 이름이 아니요 그저 그를 지목해서 부른
말일 것이다. 이것은 양(梁)나라 사람이 달마(達磨)를 가리켜 벽안호(碧眼胡)라 하고, 진(晉)나라에서 중 도안(道安)을 조롱하여
칠도인(漆道人)이라고 한 것과 같은 것이니, 아도는 높은 행동으로 세상을 피하면서 자기 성명(姓名)을 말하지 않은 때문이다. 대개
나라 사람들은 들은 바에 따라서 묵호니 아도니 하는 두 가지 이름으로 두 사람을 만들어서 전했을 것이다. 더구나 아도는 겉모습이
묵호와 같다고 하니 이 말로도 한 사람임을 알 수가 있다. 도령(道寧)이 일곱 곳을 차례로 들어 말한 것은 바로 절을 처음 세운
선후를 가지고 예언한 것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전기(傳記)는 잃었기 때문에 지금 여기에서는 사천(沙川)의 끝을 다섯 번째에 실은
것이다. 또 3,000여 달이란 것도 꼭 다 믿을 수는 없으나 대개 눌지왕(訥祗王)때부터 정미(丁未[527])년 까지는 무려 100여
년이나 되니, 만일 1,000여 달이라면 거의 비슷하다. 성(姓)을 아(我)라 하고 외자 이름을 한 것은 거짓이 아닌가 의심스러우나
자세하지는 않다.
또 원위(元魏)의 중 담시(曇始[혹은 혜시惠始])의 전기(傳記)를 상고해 보면 이러하다.
담시(曇始)는 관중(關中)사람이다. 출가(出家)한 뒤에 이상한 일이 많았다. 동진(東晉)의 효무제(孝武帝)
태원(太元) 9년(384) 말에 경(經)과 율(律) 수십부(十部)를 가지고 요동(遼東)으로 가서 불교를 선전했다. 여기에서
삼승(三乘)을 가르쳐 즉시 불계(佛戒)에 귀의(歸依)했으니 이것이 대개 고구려에서 불교를 들은 시초였다. 의희(義熙) 초년(405)에
담시(曇始)는 다시 관중(關中)으로 돌아와 삼보(三輔)에 불교를 전파시켰다. 그는 발이 얼굴보다 희었고, 아무리 진흙물을 건너도
더러워지거나 젖는 일이 없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를 백족화상(白足和尙)이라고 불렀다 한다. 동진(東晉) 말년에 북방(北方)의
흉노(匈奴) 혁련발발(赫連勃勃)이 관중(關中)을 쳐서 빼앗고 죽인 사람이 수없이 많았다. 이 때 담시(曇始)도 역시 해를 입었으나
칼이 그를 상하지 못하자 발발(勃勃)은 탄식하고, 중들을 널리 용서해서 석방하고 한 사람도 죽이지 않았다. 이에 담시(曇始)는 비밀히
산택(山澤)으로 도망하여 두타(頭타)의 행실을 닦았다. 탁발도(拓拔燾)가 다시 장안(長安)을 쳐서 이기고 그 위세를 관중(關中)과
낙양(洛陽)에까지 떨쳤다. 이때 단릉(단陵)에 최호(崔皓)란 사람이 있어 좌도(左道)를 조금 익혀서 불교를 시기하고 미워했다.
지위가 위조(僞朝)의 재상에까지 올라서 탁발도의 신임을 받게 되자 그는 천사(天師) 구겸지(寇謙之)와 함께 탁발도를 달래어 "불교는
아무런 이익이 없고 백성들에게 해롭기만 합니다"하고 이에 불교를 폐하도록 권했다고 한다.
태평(太平) 말년에 담시는 비로소 탁발도를 감화시킬 때가 왔다고 생각하고 이에 정월
초하룻날 갑자기 지팡이를 짚고 대궐 문에 이르자, 도(燾)는 이 말을 듣고 베어 죽이라고 명했다. 그러나 아무리 베어도 상하지
않으므로 도가 직접 베었지만 역시 상하지 않는다. 이에 북원(北園)에서 기르던 범에게 주었으나 범도 역시 감히 가까이하지 못한다.
도는 부끄럽고 두려운 마음이 크게 나더니 드디어 역질(疫疾)에 걸리자 최호(崔皓)와 구겸지(寇謙之) 두 사람도 서로 잇달아 나쁜 병에
걸렸다. 도는 이 허물이 그들 때문에 생긴 것이라 해서, 이에 두 집 가족을 죽여 없애고 나라 안에 선언해서 불교를 크게 퍼뜨리게
했다. 담시는 그 후 죽은 곳을 알 수가 없다.
논평하여 말한다. 담시는 태원(太元) 말년에 해동(海東)에 왔다가 의희(義熙)
초년에 관중(關中)으로 돌아갔다고 하니 여기에 10여 년 동안이나 머물러 있었는데 어찌 동국역사(東國歷史)에는 이런 기록이 없단 말인가.
담시는 실로 괴이하고 이상한 일이 많아 헤아릴 수가 없는 사람이며, 아도·묵호·난타와 연대나 사적이 모두 같으니 필경 이들 세 사람
중에 한 사람이 그의 변명(變名)인 듯 싶다.
찬(讚)해 말한다.
금교(金橋)에 눈이 쌓여 얼고 풀리지
않으니, 계림(鷄林)의 봄빛 아직도 온전히 돌아오지
않았네, 예쁘다. 봄의 신(神)은 재주도
많아서, 먼저 모랑(毛郞)의 집 매화(梅花)나무에 꽃이 피게
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