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唐)나라에서 덕경(德經) 등을 보내 오자 대왕(大王)이 예를 갖추어 이를 받았다.
왕이 나라를 다스린 지 24년에 오악(五岳)과 삼산신(三山神)들이 때때로 나타나서 대궐 뜰에서 왕을 모셨다. 3월 3일
왕이 귀정문(歸正門) 누각 위에 나가서 좌우 신하들에게 일렀다. "누가 길거리에서 위의(威儀) 있는 중 한 사람을 데려올 수
있겠느냐." 이때 마침 위의 있고 깨끗한 고승(高僧) 한 사람이 길에서 이리저리 배회하고 있었다. 좌우 신하들이 이 중을
왕에게로 데리고 오니, 왕이 "내가 말하는 위의 있는 중이 아니다"하고 그를 돌려보냈다. 다시 중 한 사람이 있는데 납의(衲衣)를
입고 앵통(櫻筒)을 지고 남쪽에서 오고 있었는데 왕이 보고 기뻐하여 누각 위로 영접했다. 통 속을 보니 다구(茶具)가 들어 있었다.
왕은 물었다. "그대는 대체 누구요?" "소승(小僧)은 충담(忠談)이라고 합니다." "어디서 오는
길이오?" "소승은 3월 3일과 9월 9일에는 차를 달여서 남산(南山) 삼화령(三花嶺)의 미륵세존(彌勒世尊)께 드리는데, 지금도
드리고 돌아오는 길입니다." "나에게도 그 차를 한 잔 나누어 주겠는가요." 중이 이내 차를 달여 드리니 차맛이 이상하고
찻잔 속에서 이상한 향기가 풍긴다. 왕이 다시 물었다.
"내가 일찍이 들으니 스님이 기파랑(耆婆郞)을 찬미(讚美)한 사뇌가(詞腦歌)가 그 뜻이
무척 고상(高尙)하다고 하니 그 말이 과연 옳은가요."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나를 위하여 안민가(安民歌)를 지어 주시오." 충담은 이내 왕의 명을
받들어 노래를 지어 바치니 왕은 아름답게 여기고 그를 왕사(王師)로 봉했으나 충담은 두 번 절하고 굳이 사양하여 받지 않았다.
안민가는 이러하다.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스런
어머니시라.
백성을 어리석은 아이라 여기시니,
백성이 그 은혜를 알리.
꾸물거리면서 사는 물생(物生)들에게,
이를 먹여
다스리네.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랴,
나라 안이 유지됨을
알리.
後句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하면,
나라는 태평하리이다.
기파랑(耆婆郞)을 찬미한 노래
헤치고 나타난 달이,
흰 구름 쫓아 떠가는 것
아닌가.
새파란 시내에,
기파랑의 모습
잠겼어라.
일오천(逸烏川) 조약돌에서,
낭(郎)이 지니신 마음
좇으려 하네.
아아! 잣나무 가지 드높아,
서리 모를 그 씩씩한 모습이여!
경덕왕(景德王)은 옥경(玉莖)의 길이가 여덟 치나 되었다. 아들이 없어
왕비(王妃)를 폐하고 사량부인(沙梁夫人)에 봉했다. 후비(後妃) 만월부인(滿月夫人)의 시호(諡號)는 경수태후(景垂太后)이니
의충(依忠) 각간(角干)의 딸이었다. 어느날 왕은 표훈대덕(表訓大德)에게 명했다. "내가 복이 없어서 아들을 두지 못했으니
바라건대 대덕은 상제(上帝)께 청하여 아들을 두게 해 주오." 표훈은 명령을 받아 천제(天帝)에게 올라가 고하고 돌아와 왕께
아뢰었다. "상제께서 말씀하시기를, 딸을 구한다면 될 수 있지만 아들은 될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왕은 다시 말한다.
"원컨대 딸을 바꾸어 아들로 만들어 주시오." 표훈은 다시 하늘로 올라가 천제께 청하자 천제는 말한다. "될
수는 있지만 그러나 아들이면 나라가 위태로울 것이다." 표훈이 내려오려고 하자 천제는 또 불러 말한다. "하늘과 사람
사이를 어지럽게 할 수는 없는 일인데 지금 대사(大師)는 마치 이웃 마을을 왕래하듯이 하여 천기(天機)를 누설했으니 이제부터는 아예 다니지
말도록 하라." 표훈은 돌아와서 천제의 말대로 왕께 알아듣도록 말했건만 왕은 다시 말한다. "나라는 비록 위태롭더라도
아들을 얻어서 대를 잇게 하면 만족하겠소." 이리하여 만월왕후(滿月王后)가 태자를 낳으니 왕은 무척 기뻐했다. 8세 때에
왕이 죽어서 태자가 왕위에 오르니 이가 혜공대왕(惠恭大王)이다. 나이가 매우 어린 때문에 태후(太后)가 임조(臨朝)하였는데 정사가
다스려지지 못하고 도둑이 벌떼처럼 일어나 이루 막을 수가 없다. 표훈 대사의 말이 맞은 것이다.
왕은 이미 여자로서 남자가 되었기 때문에 돌날부터 왕위에 오르는 날까지 항상 여자의 놀이를
하고 자랐다. 비단 주머니 차기를 좋아하고 도류(道流)와 어울려 희롱하고 노니 나라가 크게 어지러워지고 마침내 선덕왕(宣德王)과
김양상(金良相)에게 죽음을 당했다.
표훈 이후에는 신라에 성인이 나지 않았다.
digitized by
jikji. HiSTOPIA™